728x90 반응형 윤이상4 '아시아의 잘츠부르크 페스티벌' 통영국제음악제, 임윤찬이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2번으로 막을 올리다 '아시아의 잘츠부르크 페스티벌'로 불리는 통영국제음악제가 28일 막을 올렸습니다. 지난 28일 경남 통영의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에서는 통영페스티벌오케스트라(TFO) 단원들과 악장인 베를린 필하모닉 소속 바이올리니스트 한드 쿠든이 입장하고, 뒤이어 지휘자 파비앵 가벨이 등장하면서 통영국제음악제 개막공연이 시작됐습니다. 처음 울려퍼진 것은 윤이상의 '서곡'. 1973년 작곡된 이 곡은 윤이상의 작품 세계가 동아시아의 사상을 결합한 데서 한국적인 울림을 담아내는 쪽으로 변화할 때 과도기에 있던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곡이 만들어질 당시 윤이상은 1967년 동백림 사건으로 간첩 누명을 쓰고 한국에서 옥고를 치른 뒤 1969년 서독으로 추방된 직후였죠. 이러한 배경에 기인해 '서곡'은 음울함이 가득합니다... 이것이 나의 인생/생생한 음악의 향연 2025. 3. 29. 2018 남북정상회담 만찬 메뉴! 김대중·노무현·정주영·윤이상이 서린 통일의 식탁 영상을 통해 해당 포스트를 요약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역사적인 2018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평화, 새로운 시작'이라는 표어로 27일(금)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남측 평화의 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은 10년 6개월 만에 남북의 지도자가 만나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대화를 하고 있는데요. 정부에서는 이번 남북정상회담의 의제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정착, 남북 관계 발전 등과 관련해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라고 알려진 바 있습니다. 남북정상회담이 가까이 다가오면서 베일에 쌓여있던 남북정상회담의 디테일이 하나씩 드러났었죠. 이번 정상회담을 위해 일산 킨텍스에 설치된 메인 프레스 센터는 축구장 1개 크기에 달하고, 기사와 영상, 사진 등 모든 취재 수단을 위한 기반시설 및 3,000여 명을 수용할 수.. 내가 밟고 있는 땅/우리가 살아가는 세상 2018. 4. 27. 윤이상 유해 이장 및 추모식, 통영으로 귀향한 20세기 세계 5대 작곡가 영상을 통해 해당 포스트를 요약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통영 바다에 낚싯줄 던져놓고 고향 냄새 맡고 싶던 음악가, 고향에 돌아오다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이 타계 23년 만에 고향인 경남 통영으로 돌아와 잠들게 됐습니다. 오늘(30일) 통영국제음악당에서는 작곡가 윤이상의 이장 및 추모식이 진행되었습니다. 윤이상의 딸 윤정 씨와 아내인 이수자 여사, 김동진 통영시장 등이 참석한 이날 추모식은 헌다(獻茶), 경과보고, 추념사, 유가족 인사말, 헌시, 합창단 공연, 헌화 순으로 진행되었는데요. 이수자 여사는 "김정숙 여사의 독일 묘소참배가 남편의 유해 이장이 실현되는 계기가 되었다"며 "유해 이장에 힘써준 한국·독일 정부와 관련 기관에 너무 감사하며 이 잊을 수 없는 감격을 영원히 간직하겠다"며 감회를 밝혔습니.. 내가 밟고 있는 땅/우리가 살아가는 세상 2018. 3. 30. [통영여행#2] '소리없는 아우성' 청마 유치환 문학관과 생가 그리고 친일 논란 윤이상, 김춘수, 전혁림, 이중섭, 유치환, 박경리, 김상옥, 유치진. '이순신의 고장'통영은 '예향'이라는 또 다른 이름으로 불릴만큼 현대 예술인들을 많이 배출해낸 고장입니다. 통영여행의 이순신공원에 이어 두번째 일정으로 찾아간 곳은 바로 청마 유치환 시인의 생가와 문학관입니다. 타는 듯한 더위 속에 쫓기듯 문학관 안에 들어갔는데, 시원하게 나오는 에어컨과 마주하니 문학관 밖으로 나오기 싫어져 발 떼는 데 고생 좀 했습니다. 학창시절 국어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 봅니다. 중학교 때 시에 대해서 배울 때 '공감각적 심상'과 '역설법'의 가장 대표적인 예로 배운 '소리 없는 아우성'. 바로 청마 유치환의 시 '깃발'입니다. 해방 직후인 1945년 가을 통영에 위치한 용화사에서 있었던 통영문화협회 모임 사진.. 일상탈출을 꿈꾸며/대한민국 2013. 9. 15. 이전 1 다음 💲 추천 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