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생활/썰을 풀다

배은망덕 중국인 장위안, 역사왜곡 앞장서는 비열한 혐한 짱깨... "속국 시찰 나온 느낌으로 한국 돌아볼 예정"

자발적한량 2024. 5. 27.
728x90
반응형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저는 일반적인 중국인들에 대해 절대로 '짱깨'라는 말을 쓰지 않습니다. 하지만 오늘 포스팅의 주인공 장위안에게는 '짱깨' 정도가 아니라 아예 쌍욕을 하고 싶네요. 

 

과거 JTBC '비정상회담'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등을 비롯해 각종 프로그램에 출연했던 전 베이징TV 아나운서 출신의 방송인 장위안이 한국을 비난하며 역사왜곡하는 발언을 쏟아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 소식을 전한 유튜브 채널 '쉬는시간'은 24일 '한국을 너무 좋아했다는데...열등감에 미쳐버린 중국 티토커'라는 제목으로 장위안의 최근 틱톡 방송 내용을 공개했습니다.

 

장위안은 최근 다양한 한국 관련 발언들을 쏟아냈습니다. 우선 장위안은 '걸그룹 아이브 신곡 뮤직비디오 티저 영상의 한 장면이 만인갱(일제의 집단 학살지)을 떠올리게 하고, 티저 공개일과 콘서트 날짜가 중국의 아픈 역사와 관련 있다'는 음모론을 제기하면서 이에 대해 해명하라고 아이브 측에 요구한 바 있습니다.

 

또한 "제가 곧 한국에 간다고 하지 않았나. 가서 진짜 한국 상황을 보여주겠다. 요즘 많은 중국 틱토커들이 조회수 때문에 조작을 하는데 제 생각엔 이런 것들은 편향적이다. 저는 중립적인 입장에서 진정한 한국을 보여주겠다"고 말하면서 "(한국이 중국의) 문화를 훔치는 것에 대해서 나도 한국이 우리 걸 훔쳤는지 알고 싶다. 그래서 길거리 인터뷰를 할까 한다. 단오절, 공자, 한자, 중국 절기에 관련된 것 등 중국적 요소에 대해 '이게 전부 한국 거라 생각하느냐'고 물어야겠다"고 말했죠.

 

가장 분노를 참지 못했던 부분은 "저는 한국에서 중국 전통 복장을 하고 싶다"며 "명나라, 송나라 때의 황제 옷 같은 걸 입고 한국의 궁 같은 데 가서 한 번 돌아보는 거다. 마치 속국 시찰 나온 느낌으로. 좀 창피할 것 같긴 한데 한 번 해보는 거다. 그렇게 지하철을 타거나 번화가를 가거나 왕궁을 다니면서 중국 남자 복식의 아름다움을 선보이는 거다"는 발언.

 

장위안은 "많은 분들이 댓글과 SNS 메시지를 통해 '한국엔 언제 다시 가냐', '외국인 참교육 하는 게 참 좋더라'고 하신다"며 "한국이 더 좋아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번에 한국 가서  (참교육) 수업 한번 해줘야겠다. 한국인들의 성장과 발전을 돕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죠.

 

말하기도 입 아프지만, 한국인 중 누구도 공자가 한국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다만 공자로부터 시작된 유교는 한국에서도 한국 만의 방식으로 꽃을 피웠죠. 인도에서 시작된 불교가 중국과 한국, 일본에서 비슷하면서도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발전한 것과 같은 것입니다. 

 

한자 역시 마찬가지. 어떤 바보가 한자를 한국 것이라고 생각하겠습니까. 하지만 한국은 한자를 사용하면서도 삼국시대였던 약 6세기 중엽부터 '이두'를 사용하여 우리나라에 맞게 한자의 음훈을 활용해 한국어를 표기했고, 이후 1443년 세종대왕에 의해 '창제자와 창제원리, 창제 시기를 알 수 있는 세계 유일한 문자'인 훈민정음이 창제됩니다. 

 

단오는 '초닷새'(음력 5월 5일)를 뜻하는 명절로, 한국에서 설날·추석·한식과 함께 한국의 4대 명절로 꼽힙니다. 중국과 일본에도 단오가 존재하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이 단오가 중국의 단오에서 유래됐다는 설이 있지만, 애시당초 한국에도 삼국시대에 5월에 모내기를 마친 후 풍년을 기원하며 하늘에 제사를 지내던 '수릿날'이라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이는 삼국지 위지 동이전과 후한서 동이열전에도 '삼한 사람들은 5월이 되면 씨를 다 뿌리고 난 후 귀신에게 제사를 지낸다. 이때 사람들이 모여서 노래와 춤을 즐기며 술을 마시고 노는데 밤낮을 가리지 않는다. 그들의 춤은 수십 명이 모두 일어나 줄을 지어 뒤를 따르며 땅을 밟고 몸을 구부렸다가 치켰다 하면서 손과 발로 서로 장단을 맞춘다'고 언급이 되어 있죠.

 

게다가 2005년 한국에서 네 번째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강릉 단오제'는 예로부터 영동 지방에서 3~5월 무렵에 지내던 대관령산신제로부터 연원을 찾고 있죠. 즉, '단오(端午)'라는 명칭은 중국의 것을 차용했을지언정 명절의 내용은 중국의 것과 전혀 다르고, 중국에서도 그동안 중국의 단오와는 전혀 다른 명절로 인식했었던 것이 엄연한 역사적 사실이죠.

 

이것이 중국 네티즌들 사이에서 논란이 된 이후는 '강릉 단오제'가 유네스코에 등재된 이후 일부 언론들이 정확히 '강릉 단오제'라고 보도하지 않고 단순히 '단오'라고 보도를 하면서 '한국이 중국의 명절을 뺏어갔다'는 식으로 왜곡된 주장이 퍼졌기 때문입니다. 웃긴 것은 중국 역시 한국처럼 단오가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지 않았으나, 이후 중국 정부가 중국 전통문화와 풍속의 보존을 명목으로 공휴일로 지정하면서 묘한 그림이 됐죠.

 

'명나라 송나라 때의 황제 용포를 입고 속국 시찰 나온 느낌으로 한국의 궁 같은 데를 가겠다'를 발언을 들으니 장위안을 비롯한 혐한 중국인들의 시건방짐과 그 현대적 열등감에 코웃음이 쳐집니다. 기왕이면 을지로에서 한국인들 만나고 다녔으면 좋겠네요. 을지로가 수나라 양제의 별동대 30만 명 중 단 2,700 명만을 생환시킨 살수대첩의 주인공 을지문덕 장군의 이름을 딴 거리라는 걸 '짱깨 모지리'가 알 리 없을 테니까요.

728x90
반응형
LIST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