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밟고 있는 땅/우리가 살아가는 세상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최후통첩'에 러시아 푸틴 대통령 '부활절 맞이 30시간 휴전 제안'...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은 '30일 휴전' 역제안

자발적한량 2025. 4. 20.
728x90
반응형

'부활절이잖아 한 잔 해...' 러시아 푸틴 대통령, 30시간 휴전 제안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기독교의 최대 축일인 부활절을 맞이해 30시간 동안의 휴전을 발표했습니다. 러시아 대통령실(크렘린궁)은 19일 오후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오늘 오후 6시부터 일요일 밤 12시(21일 0시)까지 부활절 휴전을 선언하고, 이 기간 동안 모든 적대 행위의 중단을 명령했다"고 발표했죠. 크렘린궁은 "이번 휴전 선언은 인도주의적 고려에 의한 것"이라며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모범을 따를 것(휴전에 동참)이라고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이날 크렘린궁에서 발레리 게라시모프 러시아군 총참모장과 면담 도중 나온 푸틴 대통령의 이번 휴전 선언의 타이밍이 묘합니다. 지난달 미국 중재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부분 휴전'에 원칙적으로 동의했으나 러시아가 잇달아 선결 조건을 요구하며 사실상 부분 휴전 이행을 하지 않고 있다는 우크라이나와 유럽의 불만이 고조된 상황 속에서,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기자들과 문답 중 "두 당사국(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중 한쪽이 상황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면 우리는 '당신은 바보다. 우리는 (더 이상의 중재 노력을) 사양하겠다'고 말할 것"이라고 말했죠.

 

또한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도 같은 날 프랑스 파리에서 유럽, 우크라이나와 회동한 뒤 평화 협상에 진전이 없을 경우 미국이 중재 역할에서 손을 뗄 수 있다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를 동시 압박했습니다. 태미 브루스 국무부 대변인은 당시 파리 회동 결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 "모든 당사국이 합의에 도달하기로 약속한다면 평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하기도 했구요. 브루스 대변인은 그러면서 "이제 문명 세계는 러시아도 정말로 진지한지 지켜보고 있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미국 측의 경고가 나온 지 하루 만에 나온 러시아의 휴전 선언은, 우크라이나가 여러 차례 휴전 이행 의사를 밝힌 점을 고려했을 때, 결국 휴전 이행을 꺼리던 러시아가 미국 측의 잇따른 경고성 발언에 부담을 느낀 것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미국이 변심한다면 종전 협상을 계기로 서방 제재를 해제하려던 러시아의 노력이 물거품으로 돌아가기 때문이죠.

 

'30시간은 모자라... 30일 휴전'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의 역제안

하지만 우크라이나는 푸틴 대통령 발표에 회의적 반응을 내놓으면서 휴전 연장을 역제안했습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이 발표한 휴전 개시 이후인 이날 오후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게시물에서 "완전한 휴전이 유지된다면, 우크라이나는 휴전을 부활절인 20일 이후로 연장할 것을 제안한다"고 밝혔습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30시간이 헤드라인을 장식하기엔 충분하겠지만, 진정한 신뢰 구축 조치를 위해서는 부족하다"면서 "30일이 평화를 시도할 기회"라고 강조했습니다. 미국의 중재안을 이행할 것을 거듭 촉구한 것.

 

젤렌스키 대통령은 "현재 총사령관 보고에 따르면 러시아의 공격 작전은 일부 전선에서 계속되고 있으며 포격도 멈추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한편 "러시아는 완전하고 무조건적인 30일 휴전 제안에 39일째 호응하지 않고 있다. 미국이 이 제안을 했으며, 우크라이나는 긍정적으로 대답했지만 러시아는 이를 무시했다"고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러시아가 이제 와서 갑자기 완전하고 무조건적인 휴전에 진정으로 관여할 준비가 돼 있다고 한다면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행동에 따라 그대로 행동할 것"이라며 "침묵에는 침묵으로, 공격에는 방어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죠.

 

한편 양측은 이날 아랍에미리트(UAE) 중재로 전쟁포로 246명씩을 교환했다고 각각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경우 중상으로 응급 치료가 필요한 포로 31명도 추가로 돌려받아 총 277명이 귀환했고, 러시아군 중상 포로 15명도 추가로 송환돼 이날 양측이 교환한 전쟁포로는 총 538명으로 2022년 2월 말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최대 규모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728x90
반응형

'내가 밟고 있는 땅 >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광훈 "대선 출마" 전한길 "63빌딩서 투신 용의" 윤석열 '윤어게인 신당 창당' 변호사들과 식사.... 국민의힘 보수 결집 골머리  (1) 2025.04.20
"강아지는 키우던 주인이 계속 키워야 한다"더니... 윤석열 전 대통령, 투르크메니스탄 국견 두 마리 서울대공원 동물원에 남기고 떠  (0) 2025.04.20
MBC 100분 토론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자 토론회에서 '대선 3수생'의 여유로움 보인 이재명, '이재명의 시간'이 오고 있다  (1) 2025.04.19
안철수·홍준표, 윤석열 전 대통령 탈당 문제 두고 격돌... 국민의힘 경선 후보들 사이에 벌어지는 난타전  (2) 2025.04.18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이미선 헌법재판관 퇴임, 윤석열 파면 결정 내린 두 사람의 발자취  (0) 2025.04.18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심판 변호했던 배의철·김계리 변호사, '윤어게인' 신당 창당 선언했다가 취소... 국민의힘으로부터 압박 빗발쳐  (1) 2025.04.17
헌재,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지명 효력 정지 인용... '최종병기' 한덕수의 난 진압됐다... 김 빠진 국민의힘 경선 어쩌나  (1) 2025.04.17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 "헌법재판관 후보자 지명 아니라 발표만 했다" 미꾸라지 같은 변명이 기가 차  (1) 2025.04.16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