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실행위원회는 오늘(13일) 오후 1시 30분 사도섬 서쪽에 있는 사도시 아이카와개발종합센터에서 '사도광산 추도식'을 개최했습니다. 이 자리에는 일본 측 인사 약 70명이 참석했는데, 일본 정부 대표로는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이 참석했습니다. 오카노는 국장급으로, 차관급인 외무성 이쿠이나 아키코 정무관이 참석했던 지난해에 비해 급이 낮아졌죠.
하지만 사도광산은 태평양 전쟁 당시 조선인 약 1500여명이 끌려가 강제노역에 시달린 장소입니다. 에도시대(1603∼1867)에 금광으로 유명했던 곳으로 태평양전쟁이 본격화한 후에는 전쟁 물자를 확보하는 광산으로 주로 이용됐죠. 당시 식민지 조선인들이 강제 동원돼 혹독한 환경에서 일했는데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사도광산에서 노역한 조선인 수는 1천519명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이 광산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며 강제징용 역사를 알리기로 약속했지만 전시실 어디에도 강제성을 명확히 드러내는 표현은 없었습니다. 또한 지난해 11월 열린 첫 추도식 당시 일본 측 추도사 내용과 행사 명칭이 미흡하다고 판단한 한국 정부는 전격적으로 불참했었죠.
이재명 정부가 미래지향적 관계 발전을 위한 전향적 행보를 보이고 있으나, 역사 문제에서는 일본의 경직성이 여전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올해 역시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 측 추도사에 조선인 노동자 동원의 강제성이 충분히 담기지 않을 것으로 판단해 첫 추도식이 열린 작년에 이어 올해도 불참하기로 결정, 추도식은 2년 연속 반쪽짜리 행사가 됐습니다.
오카노 유키코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은 추도사에서 "조선반도에서 온 노동자는 전쟁이라는 특수한 사회환경 아래라 하더라도 위험하고 잔혹한 환경에서 힘든 노동에 종사했다. 선조가 이어온 역사를 되새기며 미래로 계승해 나갈 것을 다시 한번 다짐한다"고 말했습니다.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강제성은 언급하지 않은 채 '합법적 식민 지배하에서 합법적 동원령에 따른 조치'라는 기존 논리를 반복한 셈. 이에 대해 한일관계 연구자인 요시자와 후미토시 니가타국제정보대 교수는 교도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작년과 동일한 일본 정부 발언은 피해자를 모욕한 것이 된다. 감사가 아니라 사죄라는 말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아사바 유키 도시샤대 교수 역시 "세계유산은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포함해 전체 역사를 전하는 것"이라며 "원하는 것만 잘라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죠.
이번 추도식과 관련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정부는 추도식이 그 취지와 성격에 합당한 내용과 형식을 갖춰 온전하게 치러져야 한다는 입장이며, 앞으로도 일 측과 계속 협의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올해도 자체 추도식을 열 예정이며, 시기는 가을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아직 정해지지 않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