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밟고 있는 땅/우리가 살아가는 세상

트럼프 대통령,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의 퇴진 및 정권 교체 요구, 러시아와 미국간 종전 협상 논의에 반발하는 우크라이나

자발적한량 2025. 2. 20.
728x90
반응형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대통령 젤렌스키 대통령의 퇴진 및 정권 교체가 필요하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며 파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 사저인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우크라이나에서 선거가 치러지지 않았고 사실상 계엄령이 선포된 상태"라면서 "우크라이나 지도자는 지지율이 4%에 불과하다. 나라도 산산조각이 났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우크라이나가 현재 자신들이 협상 테이블에서 배제된 것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출하고 있는 것을 두고 "이 자리에 앉고 싶다면 먼저 오랫동안 선거가 없었다는 점을 인정해야 하지 않나"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러시아가 평화 협정 체결을 위해 우크라이나의 대선을 원한다는 얘기가 있다는 질문에 대해 "이는 러시아가 제기한 것만이 아니라 나와 다른 나라들도 하는 얘기"라면서 우크라이나가 대선을 치러야 한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습니다. 

 

보도 이후 우크라이나 측에서는 즉각 반발했습니다. 우크라이나 매체 키이우 인디펜던트는 특히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지지율이 4%에 불과하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에 대해 아무런 근거 없이 제시된 주장이라며 키이우국제사회학연구소의 최신 여론조사 결과를 인용했죠. 지난해 12월 우크라이나 국민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전화 인터뷰 방식의 여론조사 결과 젤렌스키 대통령에 대한 국정 지지율은 52%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은 그간 러시아가 해온 주장과 비슷합니다. 러시아는 그간 전쟁을 진두지휘해온 젤렌스키 대통령을 축출하고 우크라이나에 친러 정권을 수립하는 방안을 모색해온 것으로 알려졌죠. 지난 18일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국과 러시아 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종전 협상에 대한 고위급 회담이 열렸고, 우크라이나는 우크라이나를 배제한 미국의 협상 진행 방식을 강하게 비판하면서 젤렌스키 대통령의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을 연기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습니다.

 

유명 코미디언 출신인 젤렌스키 대통령은 2019년 대선에서 당선되어 5년 임기로 대통령직을 수행했습니다. 그런데 전쟁 발발과 함께 계엄령이 선포되면서 전시 내각 체제로 운영되고 있는 우크라이나의 현 상황 때문에 정상적으론 지난해 3월 대선을 치러야 했지만 선거 없이 대통령 임기가 자동으로 연장됐죠. 러시아는 이에 대해 젤렌스키 대통령이 대선을 취소해 국가 권력을 찬탈했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또한 향후 종전협정 등 합의문에 서명할 때 서명자는 적법한 대통령이어야 하는데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것이 러시아의 입장.

 

이에 대해 젤렌스키 대통령은 2023년 말 영국 일간 더선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가 자신을 권력에서 끌어내리려 한다며 러시아의 작전명을 '마이단3(Maidan 3)'라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마이단은 2013년 11월 우크라이나 키이우의 독립광장 마이단에서 시작된 대대적인 반정부 시위인데, '유로마이단 혁명'이라고 불리는 이 시위로 인해 우크라이나의 친러시아 노선을 이끌던 빅토르 야누코비치 전 대통령이 축출된 바 있죠. 

728x90
반응형
LIST

댓글

💲 추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