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장남 이지호 씨가 해군 장교로 입대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10일 "이지호 씨가 오는 15일 해군 학사사관후보생(139기)으로 경남 진해 해군사관학교에 입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지호 씨는 11주간 강도 높은 기초 군사교육을 거쳐 오는 12월 1일 해군 소위로 임관할 예정이며, 임관 후에는 36개월간 의무복무가 뒤따르며 훈련 기간을 포함해 총 39개월의 군 생활이 이어집니다. 보직과 배속 부대는 임관 시점의 성적과 군 특기 수요를 고려해 결정될 예정이죠.
이지호 씨는 2000년 미국에서 태어나 한국과 미국 국적을 함께 지닌 선천적 복수국적자입니다. 현행 제도상 복수국적자는 일정 시점에 한국 국적을 포기하면 병역 의무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병사로 자원 입대해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복무하면서 복수국적의 권리를 유지할 수도 있습니다. 이 같은 제도를 활용해 군 복무를 회피하거나 특권적으로 소화해 사회적 물의를 빚는 사례가 종종 있었죠.
하지만 이지호 씨의 행보는 이러한 모습과 뚜렷하게 구분되며 '노블레스 오블리주'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지호 씨가 미국 시민권을 포기한 데 이어 일반 병사보다 복무 기간이 2배가량 긴 장교의 길을 선택했기 때문이죠. 통계적으로도 미국 영주권이나 시민권을 보유한 병역 의무자가 매년 자원 입영을 택하는 사례는 100명 안팎에 그치고 있으며, 장교 복무까지 선택하는 경우는 더욱 드물기 때문입니다.
이재용 회장은 과거 사법 리스크에 휩싸였던 2020년 5월 기자회견에서 "제 아이들에게 회사 경영권을 물려주지 않을 생각"이라며 이른바 '4세 경영' 포기를 선언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인 투자와 글로벌 경쟁 속에서 신속한 의사결정이 중요한 만큼 투자자 신뢰 확보 측면에서도 오너 경영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러한 상황에서 이지호 씨의 해군 장교 입대는 국가와 공동체에 대한 책임을 상징하며, 향후 리더십을 정당화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기도 합니다.
한편 재계 안팎에서는 이지호 씨의 입대 당일 부모인 이재용 회장과 임세령 대상그룹 부회장이 입대 현장에 배웅을 나설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두 사람은 1998년 결혼한 뒤 11년 만인 2009년 합의 이혼을 한 바 있죠. 군 입대가 개인의 국방 의무일 뿐 아니라 가족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만큼, 두 사람이 함께 아들을 배웅하는 장면이 연출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