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미엄 아웃도어 브랜드 아크테릭스, 중국 안타그룹 소유였다고?
'이재용 패딩'으로 유명해진 프리미엄 아웃도어 의류 브랜드인 아크테릭스가 최근 중국 티베트 고원지대에서 불꽃놀이 이벤트를 했다가 글로벌시장에서 논란이 됐었습니다. 유명 불꽃놀이 예술가인 차이궈창과 협업해 산기슭에서부터 능선을 따라 터진 색색의 불꽃이 마치 용이 승천하는 모습처럼 보이도록 한 홍보용 초대규모 퍼포먼스였는데, 영상이 공개되자 이 불꽃놀이가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죠.
그런데 정작 한국에서는 환경오염 논란보다 아크테릭스의 '국적' 이슈가 부각됐습니다. 불꽃놀이 논란 이후 아크테릭스의 모기업인 중국 안타그룹의 주가가 5% 가까이 폭락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였죠. 그간 국내 소비자들이 아크테릭스의 모회사가 중국 기업이라는 점을 인지하지 못했던 것.
1991년 캐나다 밴쿠버에서 창립된 고급 아웃도어 브랜드인 아크테릭스는 모기업인 핀란드 아머스포츠가 2019년 중국 대표 스포츠 브랜드 안타그룹에 46억유로(약 7조6000억원)에 매각한 바 있습니다. 중국에서 아크테릭스는 룰루레몬, 살로몬과 함께 중산층이 애호하는 3대 아웃도어 브랜드로 꼽히고 있죠.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2021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경기장 건설 현장 방문 때 입어 유명세를 탔고, 국내에서는 일부 아웃도어를 즐기는 마니아층이 주로 찾던 브랜드지만 이재용 부회장이 입은 이후 젊은층부터 중장년층까지 선호하는 브랜드로 떠오른 바 있습니다.
아크테릭스는 공식 마케팅 문구로 '캐나다 알파인 정신', '밴쿠버 장인정신' 등의 문구를 주로 사용할 정도로 캐나다 태생 브랜드라는 점을 강조하지만 사실 중국 안타그룹의 소유였던 것이죠. 프랑스 살로몬, 스웨덴 피크 퍼포먼스, 미국 윌슨, 일본 데상트 역시 안타그룹에 인수된지 꽤 됐습니다. MZ 세대에서 인기가 많은 이 브랜드들이 중국 기업 소유라는 것은 국내 소비자뿐 아니라 중국 소비자에게도 낯섭니다. 해당 브랜드들의 마케팅 전략 때문이죠. 특히 국내에서는 '중국산=저가'라는 인식이 박힌 데다 반중 정서까지 남아있기 때문에 더더욱 브랜드들은 중국 색채를 지우기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안타그룹은 한국 스포츠 패션기업 휠라와 코오롱스포츠의 중국 사업 운영권도 안타스포츠가 갖고 있습니다. 최근 국내시장에 재론칭한 케이스위스는 미국 캘리포니아 브랜드라는 점을 대대적으로 내세워 마케팅하고 있지만 사실 2019년부에 중국 엑스텝인터내셜홀딩스에 인수된 중국 소유 기업이죠.
랑방·볼보도 중국 브랜드였다.. '중국 가리기' 마케팅 전략
이들보다 더 유명한 명품 브랜드 중에서도 중국 소유의 브랜드가 있습니다. 여성복과 화장품 등을 주로 파는 프랑스 명품 랑방은 중국의 푸싱그룹 산하에 있구요. 스웨덴 브랜드였던 볼보는 중국 지리자동차가 소유하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브랜드로 인식되는 볼보는 대부분 광고에서 '스웨덴 안전 기술'이나 '스웨디시 럭셔리 감성' 등을 크게 내세우며, 지리자동차와의 관계를 전면에 드러내지 않고 있죠. 같은 중국 기업 소유인 스웨덴 폴스타, 영국의 로터스 등도 비슷하게 중국 관련 이슈를 최대한 노출하지 않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글로벌, 특히 서구권 브랜드들이 중국 자본 산하에 있다는 점을 숨기고 철저히 본국 정체성을 강조하는 데는 이 방식이 프리미엄 이미지를 유지하는 데 더 낫다고 인식했기 때문입니다. 아직까지 일반 소비자들에게 북미·유럽산이 고가 프리미엄 제품이라는 인식이 남아있기 때문인데요. 아울러 중국산이 값싸고 품질이 낮다는 고정관념도 존재하므로 이를 회피하고 높은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선 '중국 지우기' 전략이 유리하다는 판단을 한 것이겠죠. 여러 정치적·지정학적 리스트에 따른 중국 비선호 경향을 의식한 조치이기도 합니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자본력을 앞세워 유명 글로벌 브랜드를 사들이는 추세가 확대하고 있어 비슷한 상황의 브랜드들도 늘어나는 분위기"라며 "국내 소비자들에게 반중 정서가 쉽게 가라앉지 않는 분위기라 프리미엄 브랜드일수록 중국 지우기 마케팅이 거의 생존 전략"이라고 짚었습니다.
한국 색채 보이지 않는 휠라, 과거 일본과 합작 알리지 않으려는 다이소
반대로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사례를 목격할 수 있습니다. 휠라가 대표적인 예죠. 휠라는 1911년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브랜드입니다. NBA 농구스타를 기용한 스타마케팅에 성공해 한때 나이키, 아디다스와 함께 스포츠웨어 글로벌 시장을 주름잡는 3대 축으로 성장하기도 했죠. 그런데 2000년대 초 고향인 유럽시장에서의 매출부진으로 파산 위기를 맞자 당시 한국에서 라이선스 형태로 휠라코리아 사업을 영위해오던 윤윤수 회장이 2003년 본사를 사들였고, 2007년 글로벌 브랜드 사업권을 완전히 인수했습니다. 이렇게 휠라는 한국 브랜드가 됐지만, 한국 색채를 내보이지 않습니다.
아예 반대의 경우도 존재합니다. 다이소는 애초에 일본 다이소 측의 투자를 통해 한국에 지사 형태로 설립됐었습니다. 일본 다이소산업은 아성다이소의 2대 주주였죠. 하지만 2023년 12월 다이소산업이 지분을 전량 매각하면서 현재는 한국 기업이 됐죠. 과거 박정부 회장은 일본계 회사라는 시선을 의식해 "일본 다이소에 배당금을 지급한 바 없다"고 말했지만 거짓임이 드러나기도 했고, 음운의 유사성으로 '다 있소'라는 단어와 브랜드를 엮어 마케팅을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다이소는 과거 한일 합작관계 역사를 지우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경우입니다.
댓글